성장의 불안을 기회로: 성과와 기여로 만드는 커리어와 자기 확신
1. 일의 본질: 나와 타인의 기여
내 일이 남의 일을 도울 수 있는가?
→ 내 업무가 타인의 효율을 올리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고민.
문제 해결 중심 접근:
내 속도와 효율은 기술(개발)을 통해 개선.
타인의 효율은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으로 지원.
2. 커리어 성장을 위한 질문
나의 독립성:
도움 없이 스스로 해결 가능한 업무의 비중은?
기여의 확장성:
나는 몇 명의 동료를 도울 수 있는가?
팀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디까지인가?
3. 커리어 성장의 질적 지표
협업의 범위와 질:
협업 방식이 더 정교하고 폭넓게 변화하는지.
업무의 비즈니스 가치:
단순히 동작하는 코드 → 유지보수가 쉬운 코드 → 비즈니스에 직접 기여하는 코드로 발전.
시야 확장:
내가 바라보는 문제와 솔루션의 범위가 커지고 있는가?
4. 번아웃 관리와 성장
번아웃은 나를 먼저 돌보지 못한 결과에서 비롯.
나를 먼저 돕는 것이 중요: 업무의 우선순위 정리, 성취감을 주는 목표 설정.
긍정적인 생각으로 불안을 덮는 건 임시방편.
본질적인 해결책은 성과와 기여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것.
5. 면접과 커리어 전략
면접의 본질
코딩 테스트와 함께, 내가 쌓아온 경험과 근거를 보여주는 자리. 자기 확신의 원천은 실질적인 성과와 경험에서 비롯.
역량을 쌓는 과정
부트캠프 수료 후: 실제 사례를 통해 역량 증명. 스스로 프로젝트를 만들어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
6. 커리어와 자기 확신
성장의 불안은 자연스러운 과정.
이를 기회로 바꾸려면 성과 중심의 사고와 기여의 확장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
자기 확신은 성과와 기여를 기반으로 쌓이며, 이를 통해 불안을 잠재우고 더 큰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음.
Last modified: 13 Decemb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