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wiki Help

01장 프로그래밍

1.1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래밍 :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를 위해 무엇을 실행하고 싶은지 정의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프로그래밍에 앞서 해결해야 할 문제(요구사항)를 명확히 이해한 후 적절한 문제 해결 방안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문제 해결 능력 :

해결 방안을 정의 할 때 요구되는 것이 문제 해결 능력이다. 이 능력을 함양하는데 알고리즘 학습은 도움이 되지만 문제 해결 능력은 더 큰 차원의 능력이다.

프로그래밍 :

즉 프로그래밍이란 0과 1밖에 알지 못하는 기계가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작업이며, 그 결과물이 바로 코드다. 모호하고 대략적인 요구사항은 전달해도 완벽히 이해하는 컴퓨터는 존재할 수 없다.

문제 해결 방안을 고려할 때 컴퓨터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보아야 한다. 이때 필요한 것이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이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의 사고방식의 포괄적인 것과 다르다는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1.2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정의된 문제 해결 방안을 컴퓨터에게 전달해주어야 컴퓨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명령을 수행할 주체는 컴퓨터다. 따라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가 아니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 즉 기계어(machine code)로 명령을 전달해야 한다.

기계어 :

기계어는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와 언어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전달하기가 어려운 일이다. 심지어 비트(bit)단위로 기술되어 있다.

어떻게 전달하나요?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구문 (syntax), 문법으로 구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프로그램을 작성한 후, 그것을 기계어로 변경하는 일종의 번역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 번역기를 컴파일러( compiler) 혹은 인터프리터(interpreter)라고 한다.

1.3 구문과 의미

프로그래밍 학습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배우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는 외국어 학습과 유사하다.

const number = 'string'; console.log(number + number); // NaN

자바스크립트의 변수에는 어떠한 타입의 값도 할당할 수 있다. 위 예시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의미적으로 옳지 않다. number라는 이름의 변수에 문자열이 할당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문제 해결 능력을 통해 만들어낸 해결 방안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사용해 표현한다. 즉, 작성된 코드는 해결 방안의 구체적 결과물이다. 그리고 이것은 언어의 문법에 부합하는 것은 물론이고 수행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수행하는 것, 즉 **요구사항이 실현(문제가 해결)**되어야 의미가 있다.

프로그래밍 :

요구사항의 집합을 분석해서 적절한 자료구조와 함수의 집합으로 변환한 후, 그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Last modified: 03 September 2024